성공사례

법무법인 선린 / 성공사례

성공사례

민사 연구소 [계약 보증금 반환 청구] - 승소, 용역회사 갑질, 계약해지 후 보증금 7천만원을 돌려주지 않겠다는데 소송으로 반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조회 14회 작성일 25-09-15 10:59
who_chr
의뢰인 정보

성별 : 남

나이 : 50대

직업 : 청소용역업체

사건경위

용역회사 계약해지 보증금 반환거부, 소송으로 3,500만원 돌려받았어요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482_8392.png


 


가족보다 가까운 법무법인 선린입니다.

법무법인 선린은 계약 분쟁, 보증금 반환청구, 손해배상 소송 등에서 수많은 승소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권익을 지켜드리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용역회사와의 계약 과정에서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해 소송으로 이어진 사건을 살펴보겠습니다.

 

1. 사건의 배경

 

A 씨는 청소용역업을 하는 P 회사 대표의 소개로, 이 회사의 특수 장비를 이용한 청소용역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체결 당시 의뢰인은 회사에 보증금 7천만 원을 지급했고, 이후 패스트푸드 매장 등에서 청소용역을 맡아 수행했는데요.

 

하지만 약 8개월이 지난 후 의뢰인의 남편이 매장 배정 축소 문제를 따지자, 회사 측은 하기 싫으면 그만두라며 사실상 계약을 무효화하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어서 회사는 A 씨 부부의 현장 출입을 막고, 오히려 홈페이지에 신규 지사 모집 공고를 내걸었습니다.

 

2. 피고의 반박

 

반대로 P 회사는 A 씨 부부가 스스로 일을 그만두었으므로 보증금은 조금도 반환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더 나아가 지급한 장비비용 역시 회사가 인수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했습니다.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494_1927.png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494_354.png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494_529.png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494_6992.png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494_8739.png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495_0595.png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498_3865.png
 


bce52bf6cbe821a5e3febb73118a5fdc_1757901574_9958.png
 

선린의 전략
  • 01

    피고가 일방적으로 원고의 청소용역업무 수행장소인 매장방문을 금지하고 이후 회사 홈페이지에 원고 운영 00지사의 설립인가를 취소한다는 취지로 공고하여 이 사건 계약의 이행을 거절하였다.

  • 02

    이처럼, “회사가 계약을 이행하지 않았으므로 계약은 해지되었고, 원상회복으로 이 사건 계약상 보증금 7천만 원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03

    또한, 용역 계약 체결을 위해 고가에 매입한 크레인 장비 역시 계약의 일체로 보아 반환 또는 3,900만원에 대한 정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송 결과
victory
담당변호사의 총평

4. 재판부의 판단

 

재판부는 계약서 조항과 실제 계약 이행 과정을 면밀히 검토했습니다.

 

▶ 계약이 명시적 합의해지뿐 아니라 묵시적으로도 종료될 수 있다는 점,

 

 보증금의 성격이 사업비계약 담보금의 혼합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

 

 회사 측이 사실상 의뢰인의 계약 이행을 거부하고 신규 지사 모집을 진행한 점,

 

이 모든 사정을 종합해, 피고가 원고에게 보증금의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이 사건 계약기가간과 계약이 유지된 기간, 이 사건 계약이 해지된 경위 등을 종합하여, 전액 반환보다는 일부만 돌려주는 것이 타당하다 보아, 피고는 원고에게 보증금 7천만 원 중 절반인 3,500만 원 반환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5. 사건의 키 포인트

 

● 독점권의 허위성

회사는 지사 독점권을 준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본사가 영업한 물량을 모두 제외하는 허위의 계약 구조였습니다.

 

 과도한 비용 전가

청소장비 매매를 강요하고, 수수료 20~30%를 공제하는 방식으로 실질적 부담은 전적으로 의뢰인에게 전가되었습니다.

 

 보증금의 법적 성격

단순 사업비가 아닌, 계약 유지와 장비 대여를 위한 보증금 성격을 동시에 지녔다는 점에서 원상회복 원리에 따라 반환이 인정받을 수 있었습니다.

 

6. 결론

 

결국 법원은 보증금의 전액은 아니더라도 절반을 반환받는 결과를 인정했습니다. 당초 의뢰인이 기대한 7천만 원 전부는 아니었지만,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다면 한 푼도 돌려받지 못했을 상황에서 의미 있는 성과였습니다.

 

상대방이 하기 싫으면 그만두라는 말을 하였는지 계약 해지의 경위에 대해서는 입증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양 당사자 간 합의해지가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보증금 중 일부라도 돌려받을 수가 있었습니다. 만일 A 씨가 일방적으로 계약 해지를 하는 경우에는 계약 제12조에 따라 보증금 전부를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었습니다.

 

계약 관계에서 발생하는 보증금 분쟁은 단순히 계약서 한 장으로 끝나지 않고, 실제 거래 관행과 계약 이행 태도까지 종합적으로 판단됩니다. 법무법인 선린은 이처럼 복잡한 계약 분쟁에서 의뢰인의 권리를 최대한 지켜내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