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사례

법무법인 선린 / 성공사례

성공사례

상속 연구소 수원상속전문변호사 친오빠의 신용카드대금 3천만원을 갚으라고 민사 소장을 받으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조회 28회 작성일 25-03-31 14:02
who_chr
의뢰인 정보

성별 : 여

나이 : 60대

직업 : 무직

사건경위

신용카드이용대금 - [화해권고결정 / 친오빠의 신용카드대금을 청구 받았으나, 한정승인 사건 진행을 이유로 소송을 전부 방어한 사례]”


 557a7365b30937d512e66e84efcd1933_1743397280_2853.png

안녕하세요.

 

가족보다 가까운 법무법인 선린 상속연구소입니다.

 

채권자들의 소송은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사례는 망인의 친동생이 신용카드대금 3천만 원에 대한 민사소장을 받았으나 법률적으로 방어한 사건입니다.

 

민사소장을 받게 되면 당황하기 마련이지만, 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하면 해결책이 생깁니다. 이 사건에서는 한정승인을 통해 상속 채무를 효과적으로 방어했습니다.

 

친오빠 신용카드대금 3천만 원, 갑자기 민사소장을 받았습니다

 

1. 사건의 핵심 요약

 

의뢰인 A 씨와 B 씨는 망인 C 씨의 친동생들입니다.

 

C 씨는 혼인 관계 없이 사실혼 배우자와 20여 년을 살다가 별다른 가족 연락 없이 사망했는데요, 직계존속도 이미 사망하여 A 씨와 B 씨가 법정상속인이 되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두 사람은 신용카드회사로부터 3천만 원이 넘는 민사소장을 받고 깜짝 놀라 저희 법무법인 선린 수원 사무실을 찾아왔습니다.

 

심지어 C 씨는 수십 년간 연락도 없었고, 남긴 재산도 전혀 없었습니다. 한정승인 신청 기간인 3개월이 이미 도과된 시점이라서, 이 분들께서는 당황스러워하셨습니다.

 

2. 상대방(원고)의 주장

 

원고 P 회사는 신용카드 발행 및 관리업무를 하는 회사로, 소외 망 C 씨가 원고에게 변제하지 않은 33,022,034원의 채무가 있다고 주장하며 청구취지와 같은 금액을 상속인인 피고들에게 청구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법정상 상속인인 A 씨와 B 씨가 C 씨의 상속채무를 승계했으니 위 채무를 변제하라는 것이죠.

 

법률상, 상속을 단순히 수락하면 피상속인의 채무도 함께 떠안게 됩니다. 문제는 이 채무가 본인의 채무가 아님에도 갚아야 할 상황이 생긴다는 점입니다.


 557a7365b30937d512e66e84efcd1933_1743397293_5629.png


557a7365b30937d512e66e84efcd1933_1743397293_6176.png
557a7365b30937d512e66e84efcd1933_1743397293_6867.png
557a7365b30937d512e66e84efcd1933_1743397293_7784.png

557a7365b30937d512e66e84efcd1933_1743397303_2579.png
 

선린의 전략
  • 01

    원고는 ‘카드이용대금 및 연체대금’을 주장하지만 원고가 제출한 증거에는 카드이용내역 등도 없이 대금을 정리해 둔 표만 있어 원고가 어떠한 근거로 청구취지와 같은 금액을 청구하는지 알 수 없다.

  • 02

    원고가 ‘안심상속 원스톱조회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회한 C 씨의 금융거래내역에도 원고의 청구와 관련된 부분은 전혀 없었습니다. 따라서 원고는 C 씨가 어떤 경위로 위 채무를 부담하게 되었는지를 입증하여야 할 것입니다.

  • 03

    원고의 청구가 이유 있다고 하더라도, 피고들은 현재 특별한정승인을 청구하여 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한정승인 신고가 수리된다면 피고들은 상속재산 내에서만 채무를 변제하면 된다고 반박했습니다.

소송 결과
victory
담당변호사의 총평

4. 재판부의 판단

 

재판부는 이 사건에 대해 상속재산 범위 내에서만 변제하라는 화해권고결정을 내렸습니다.

 

또한 소송 비용은 각자가 부담하도록 판단하였습니다.

 

이는 곧 상속인들의 재산에서 채권을 받아낼 실익이 없음을 재판부도 인정한 것입니다.

 

 

5. 사건의 키포인트

 

이번 사건에서 중요한 부분은 바로 채무는 있으나 상속재산이 없었다는 점입니다.

 

피상속인 C 씨는 남긴 재산이 전혀 없고, 되레 약 9,700만 원의 채무만 있었습니다.

따라서 상속인들은 아무런 이익 없이 빚만 떠안게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의뢰인들이 민사소장을 받은 직후 법무법인 선린을 찾아와 민사소송에 대응하면서, 조기에 특별한정승인을 진행했기 때문에 실질적 손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6. 결론

 

민사소장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돈을 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망인의 채무가 갑자기 상속인에게 청구되는 경우, 특별한정승인 절차를 통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선제적 법률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예고 없이 날아온 소장이라도 침착하게 대응하면 충분히 방어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상황에 놓이셨다면, 무작정 겁먹지 마시고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시길 바랍니다.

 

본 사례는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일부 내용을 각색하였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