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사례

법무법인 선린 / 성공사례

성공사례

민사 연구소 평택변호사 건설회사로부터 체불임금·퇴직금 받지 못했다면 꼭 확인하세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조회 51회 작성일 25-03-24 17:50
who_chr
의뢰인 정보

성별 : 여

나이 : 50대

직업 : 회사원

사건경위

퇴직금 등 - [전부 승소 / 직원 120명이었던 건설회사가 어렵다면서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는데]”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068_2331.jpg

안녕하세요.

가족보다 가까운 법무법인 선린입니다.

 

회사의 어려움으로 퇴직금을 지급받지 못해 막막하신가요?

평택변호사가 속한 법무법인 선린은 체불임금, 퇴직금 청구 소송에서 전부 승소한 사례를 통해 의뢰인의 권리를 끝까지 지켜드렸습니다.


오늘은 “퇴사 근로자인 A , B 씨는 퇴직금 2,300만원, 1,500만원을 각각 지급받지 못했는데 소송을 통해 지급 받을 수 있게 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사건의 핵심 요약

 

피고 P 주식회사토목 건축공사업, 장 공사업, 전기공사업, 철강제 설치, 소방설비, 수질오염대기오염 방지 시설업 등을 목적으로 하는 주식회사입니다.

 

원고 A 씨는 2018. 12. 10.부터 2023. 6. 30.까지 피고 회사에서 재직하면서 재무회계팀의 과장으로 근무하며 회사 재무 관련 업무를 하였습니다. 원고 B 씨는 건축조경산업기사로 2019. 11. 25.부터 2023. 6. 30.까지 피고 회사에서 재직하면서 외주구매팀의 대리로 근무해왔습니다

 

A 씨와 B 씨는 각각 재무회계팀 과장과 외주구매팀 대리로 건설회사에서 수년간 근무했습니다.

 

하지만 퇴사 이후 퇴직금과 체불임금을 전혀 지급받지 못했습니다. 해당 건설회사는 직원 120명 이상이 근무하던 중견 기업이었으나, 경영난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폐업 수순을 밟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A 씨와 B 씨는 고용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였지만, 대표이사의 반복된 불출석과 지연으로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소송을 통해 권리를 되찾기로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2. 피고 회사의 반박

 

피고는 원고들이 제출한 퇴직금 명세서가 "누가 작성했는지 알 수 없으며", "계산 기준도 불분명하다"고 반박했습니다. , 퇴직금 산정의 근거를 전혀 인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었습니다.

 

하지만 피고는 해당 퇴직금 명세서가 회사 인사팀 주임이 퇴사 전에 작성하여 직원들에게 전달한 문서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부인했습니다.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083_4339.png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083_497.png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083_5688.png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083_6597.png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089_4622.png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089_5227.png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089_5689.png
f6cc6ebdc6f644306b70c7e4d078da88_1742806135_4526.jpg
 

선린의 전략
  • 01

    강제집행을 위한 채권가압류 → 피고 회사가 타 회사에 가지는 공사대금 채권을 파악하고 채권 가압류 조치를 통해 추후 승소 시 강제집행이 가능하도록 대비했습니다.

  • 02

    퇴직금 명세서의 진정성 입증 → 문제의 명세서는 피고 회사 인사팀 직원이 퇴사 직전에 작성한 공식 자료임을 입증했습니다.

  • 03

    피고 측의 시간 끌기식 소송 전략에 휘말리지 않도록 적극 대응하며, 조속한 판결을 요청했습니다.

소송 결과
victory
담당변호사의 총평

가. 재판부의 판단

 

법원은 원고들이 제출한 명세서와 진술, 기타 근거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끝에 체불임금과 퇴직금이 실제로 지급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하였습니다.

  

결국, 피고 회사는 A 씨에게 2,300만 원, B 씨에게 1,500만 원을 지급하라는 전부 승소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나. 사건의 키포인트

 

이 사건의 포인트는 단순한 임금 미지급이 아니라, 회사가 폐업 수순을 밟으며 사실상 지급을 회피하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법무법인 선린은 단순한 승소에 그치지 않고, 집행 가능성까지 고려한 전략을 마련하였습니다.

 

현재 피고는 항소를 제기했으며, 법무법인 선린은 항소심에서도 전부 승소를 목표로 소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 평택변호사가 전하는 한 마디

 

퇴직금을 못 받았는데도 회사가 폐업해서 방법이 없다고요?”

그렇지 않습니다. 회사를 상대로 체불임금, 퇴직금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판결을 받은 후에도 가압류, 강제집행 등의 방법으로 현실적인 회수를 도울 수 있습니다.

 

평택변호사가 속한 법무법인 선린은 이미 수많은 체불임금 사건을 성공적으로 해결해왔습니다.

 

어려운 상황일수록 확실하고 신속한 법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본 사례는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일부 내용을 각색하였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