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사례

법무법인 선린 / 성공사례

성공사례

전세임대 연구소 전세금반환변호사 전세사기 피해, HUG보증보험 가입했는데 허그에서 묵시적 갱신을 이유로 지급 거절하였다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조회 46회 작성일 25-04-11 07:16

who_chr who_chr

의뢰인 정보

성별 : 남, 여

나이 : 40대

직업 : 회사원

사건경위

 보증채무금 - [전부 승소 / 집주인이 2억 원 전세금(보증금) 반환하지 않자, HUG에 지급 요청했으나, 묵시적 갱신을 이유로 이행 거절하였는데 법원이 계약 종료 인정한 사례]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68_0234.png

안녕하세요.

 

가족보다 가까운 선린 부동산연구소입니다.

 

법무법인 선린은 LH, GH와 전세임대 계약체결에 관한 용역계약을 체결하여, 한 해에 수천 건에 이르는 전세 임대계약을 체결하여, 주거복지 향상에 힘쓰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OdOqHSG7-g 


전세 임대 관련 분쟁에서 수천 건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법무법인 선린은 임차인의 권리를 지켜내고 있습니다. 특히 선린은 주거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의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한 후 임대차 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었다는 이유로 허그(HUG)에서 보증금 지급을 거절한 사건에서, "허그로부터 보증금 2억 원 전액을 돌려받은 승소 사례"를 소개드립니다.


 

1. 사건의 핵심 요약

 

원고 A 씨는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한 임차인으로, X 아파트에 대하여 임대인 P (미성년자)과 전세보증금 2억 원 규모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기간이 종료되었음에도 임대인은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았고, 이에 따라 원고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보증금 반환을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HUG는 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었다는 사유로 이행을 거절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 HUG를 상대로 보증채무금 반환 소송을 제기하였고, 결국 1심 무변론 승소, 2심 항소심까지 이어진 끝에 최종 승소하게 된 사건입니다.

 

2. 상대방의 반박

 

HUG는 항소심에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쳤습니다.

 

. 임대인은 미성년자였으며, 그의 부모가 공동 법정대리인이었음

 

. 갱신거절 의사표시는 양쪽 부모에게 모두 도달해야 하는데, 원고는 부(Q )에게만 통지했음

 

. 따라서 이 사건 계약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묵시적으로 갱신된 계약이며, 계약이 종료되지 않았으므로 보증금 반환 책임이 없다는 주장이었습니다.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91_0962.png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91_1786.png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91_2518.png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91_3729.png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91_4644.png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91_5631.png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91_65.png
00bd06c9c5f27dad8d93fd5f8afa6cb4_1744323291_8158.png
 

선린의 전략
  • 01

    피고의 반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재반박하였습니다. ① 전세계약서상 임대인의 대리인으로 ‘Q’만이 기재되어 있었던 점

  • 02

    ② Q 씨의 휴대전화로 갱신거절 통지를 보낸 사실이 존재했던 점, ③ 임대인의 부모 측에서 계약 종료 사실을 인정하고 확인서까지 작성한 점

  • 03

    이 모든 자료를 종합해볼 때, 계약이 종료되었다는 사실을 임대인 측이 이미 알고 있었으며, ‘도달주의’ 기준으로도 갱신 거절에 대한 통지는 유효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송 결과
victory
담당변호사의 총평

4. 재판부의 판단

 

재판부는 선린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피고의 항소를 기각하였습니다.

 

임대차계약 갱신거절의 통지와 같은 준법률행위의 도달은 사회관념상 상대방이 통지의 내용을 알 수 있는 객관적 상태에 놓여 졌을 때를 지칭하고(대법원 1983. 8. 23. 선고 82다카439 판결 등 참조).

 

원고가 2023. 11.경 이 사건 갱신거절 표시를 함으로써 임대인 P 양의 법정대리인인 Q 씨와 R 씨는 각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객관적 상태에 놓여있었다고 봄이 타당하다.

 

이에 따라, 원고가 보낸 통지는 법적으로 적법하며, 계약은 2024224일 종료되었고, 보증금 반환 책임은 HUG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법원은 HUG에게 보증금 2억 원 전액 및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것을 명령하였습니다.

 

5. 사건의 키포인트

 

이 사건은 1심에서 HUG가 무변론으로 패소하였고, 이후 항소심에서 치열한 다툼이 있었던 사건입니다.

 

하지만 선린은 계약 갱신거절 통지의 적법성과 계약 종료 사실을 명확히 입증하여, 묵시적 갱신이라는 함정을 넘고 보증금 전액 회수에 성공하였습니다.

  

6. 결론

 

최근 전세 사기, 전세보증금 반환 지연 문제가 전국적으로 크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HUG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을 믿고 있었던 임차인들조차 보증 이행 신청이 거절되며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례에서 보듯이, 명확한 법리와 사실관계 정리, 그리고 전문적인 소송 전략만 갖춘다면 전세보증금 반환 거절에도 불구하고 전액 회수가 가능하다고 하겠습니다.

 

  ※ 본 사례는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일부 사실관계를 각색하였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