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사례

법무법인 선린 / 성공사례

성공사례

민사 연구소 [퇴직금, 임금체불 지급명령] - 확정, 퇴직금중간정산 해준다더니 8년 일한 직원에 밀린 임금도 안 줬다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조회 23회 작성일 25-07-16 17:41
who_chr
의뢰인 정보

성별 : 여자

나이 : 40대

직업 : 회사원

사건경위

인테리어설계회사 말로만 퇴직금 중간정산한다고 해놓고 임금체불


c0aca30827149c9369d02df3f653f33f_1752655150_4269.png
 

안녕하세요. 가족보다 가까운 법무법인 선린 민사연구소입니다.

 

1. 사건의 핵심 요약

 

이번 사건은 인테리어 설계업체에서 8년 넘게 성실히 근무한 A 씨가 퇴직을 앞두고도 임금과 퇴직금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한 사례입니다. 회사 대표였던 P 씨는 퇴직금 중간정산을 해주겠다며 A 씨의 신뢰를 얻었지만, 실제로는 연금 납부조차 하지 않은 채 수천만 원의 체불을 남긴 상태였습니다. 결국 A 씨는 법무법인 선린을 통해 임금 및 국민연금 체납금 합계 약 5,700만 원에 대해 지급명령을 신청하여 체불임금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금전에 대한 지급 청구는 소송보다도 비용이 저렴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지급명령제도를 활용하는 게 더 낫습니다. 상대방이 법원에서 내린 지급명령결정문을 받고 2주 내로 이의신청을 하지 않게 되면, 해당 결정문은 확정 판결과 동일한 효과를 내고 채권자는 이 결정문으로 채무자의 재산에 강제집행을 진행할 수가 있게 됩니다. 빠르면 1개월~3개월 내로 소송과 동일한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죠.

 

2. 상대방(회사 대표)의 주장

 

P 씨는 A 씨에게 급여에서 세금 및 국민연금 등을 원천징수해왔지만, 국민연금공단을 통해 확인한 결과 무려 55개월치, 1,600만 원 상당의 연금이 미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또한, 퇴직을 앞두고 "매출이 생기면 퇴직금을 정산해주겠다"고 말하며 중간정산 약속을 했지만, 구체적인 이행은 전혀 없었습니다.

 

한편 P 씨는 개인사업자 시절에도 같은 장소, 동일 업종으로 회사를 운영했으며, 이후 법인 명의로 전환했지만 본질적인 사업 구조는 동일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경영상 어려움으로 당장 지급하기 어렵다 입장을 고수해왔습니다.


c0aca30827149c9369d02df3f653f33f_1752655169_5273.png
c0aca30827149c9369d02df3f653f33f_1752655169_6167.png
c0aca30827149c9369d02df3f653f33f_1752655169_6937.JPEG
 

 c0aca30827149c9369d02df3f653f33f_1752655181_6483.png

선린의 전략
  • 01

    합의서 확보 및 지연이자 약정 강조 퇴직 후 작성된 합의서에는 총 4,135만 원을 분할 지급하며, 지급 지연 시 연 20%의 이자 및 민형사상 책임을 진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선린은 이 문서를 중심으로 P 씨의 책임을 명확히 부각시켰습니다.

  • 02

    고용노동부 자료 연계 입증 A 씨가 고용노동청에 진정한 결과, 해당 기관에서 P 씨의 체불 사실이 명확히 확인해주었고 일부 대지급금(1,000만 원)이 지급된 기록도 확보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법적 근거가 강화되었습니다.

  • 03

    국민연금 미납 내역 분석 및 청구 반영 국민연금공단에서 발급한 내역을 바탕으로 사업주 부담 및 근로자 원천징수분의 누락까지 명확히 지적, 총 1,638만 원의 연금 체납금도 체불임금액에 포함시켰습니다.

소송 결과
victory
담당변호사의 총평

4. 재판부의 판단 "지급명령 신청 인용"

 

재판부는 A 씨의 신청을 인용했습니다.

 

총 청구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57,739,970

 

체불임금 및 퇴직금 원금 41,350,000

 

20% 이자 약 333만 원

 

국민연금 체납금 16,389,970

 

지급명령 관련 비용 117,100

 

P 씨는 연대보증책임자로서 법인과 함께 전액을 지급해야 할 법적 책임이 있다는 점이 분명히 인정되었습니다. 나아가 채무자가 지급명령 결정문을 받고 나서 이의신청하지 않았고, 위 결정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습니다.

 

5. 사건의 키포인트

 

이 사건은 장기간 성실하게 근무한 직원이 퇴직을 앞두고 고용주의 무책임한 태도에 경제적 피해를 입은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특히,

 

형식적으로는 법인이지만 실질은 개인사업자와 동일

 

급여 공제 후 납부하지 않은 국민연금이 수천만 원

 

지급 약속 후 지키지 않으면서 책임 회피

 

이러한 행위들은 단순한 민사 문제를 넘어, 형사상 횡령죄 성립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중대한 불법행위입니다.

 

법무법인 선린은 합의서, 고용노동부 자료, 국민연금 내역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하였고, 신속히 지급명령 신청을 하여 A 씨의 권리를 회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P 씨는 임대차보증금 8천만 원인 국민임대아파트에서 지내는데 해당 금원에 채권압류를 할 것입니다.

 

6. 결론

 

임금체불, 퇴직금 미지급, 4대보험 미납 등의 문제는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니라 노동자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동일한 피해를 당하고 있다면, 전문 로펌의 도움을 통해 반드시 권리를 지키시기 바랍니다. 법무법인 선린은 이러한 사건에서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끝까지 함께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